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MySQL
- date
- function
- 웹하드추천
- JSON
- Arrays
- string
- curl
- php
- 무료다운로드쿠폰
- HTML
- 경영
- 웹하드순위
- OOP
- variables
- Laravel
- Session
- 전략
- jquery
- Forms
- file-upload
- composer-php
- Apache
- Ajax
- Regex
- post
- UTF-8
- Linux
- JavaScript
Archives
- Today
- Total
개발! 딱 깔끔하고 센스있게!
네트워크1_1주차 2강 본문
통신 프로토콜 이란?
- 통신규약, 두 시스템간의 통신을 위한 약속
통신 프로토콜 표준화 기구
- ITU : 국제 통신 연합
- IEEE : 미국 전기전자 기술자협회
- ISO : 국제표준화기구 (OSI 7계층 표준화)
- TTA :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
- ETSI (유럽), ANSI (미국)
ISO 에서 OSI 7계층 표준화
- 단지 Model일 뿐이며, 각 Layer를 구현하는 방법은 정의하지 않음
- 두 시스템의 Layer간의 통신을 peer-to-peer 커뮤니케이션이라고함
- 시스템 내 Layer간의 통신을 Interface 라고함
- Physical Layer 에서는 bit를 전달
- Data Link Layer 에서는 Frame (예 MAC frame)
- Network Layer 에서는 Packet (예 IP Packet)
- Transport Layer 에서는 Segment
OSI 7계층
7. 응용 계층 | 서비스 제공 |
6. 표현 계층 | 인코딩, 암호화, 압축 |
5. 세션 계층 | 동기화 , 세션관리 및 종료 |
4. 전송 계층 | HTTP 요청을 담은 패킷 전송 |
3. 네트워크 계층 | HTTP 요청을 담은 IP 패킷 전송 |
2. 데이터링크 계층 | 프레임 전송 / 오류 검출 |
1. 물리 계층 | 사용자 > 허브/스위치 > 광케이블 |
물리 계층 (1계층)
- 물리적 회선(유선, 무선)에 관한 약속
- 데이터를 물리 매체 상으로 전송하는 역할
- 물리적 링크의 설정, 유지, 해제 담당
- 종단 장비 간의 물리적, 전기적, 기능적, 절차적 인터페이스 규정
- 전송선로의 종류에 따른 정송 방식과 인코딩 방식 결정
데이터링크 계층 (2계층)
- 링크상에서 신뢰성 있게 정보전송을 위한 약속
- 물리 계층에서 전송하는 비트들에 대한 동기 및 식별 기능
- 원활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흐름제어 기능
-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오류제어 기능
네트워크 계층 (3계층)
- 번호(주소)를 통한 경로설정, 트래픽 제어
- 전송 패킷 분해/조립
전송 계층 (4계층)
- 종단 간(end-to-end)에서 전달방법
- 연결형 전송, 비연결형 전송
세션 계층 (5계층)
- 종단연결에서의 세션(대화채널)에 대한 약속
- 송수신 프로세스 사이의 세션의 확립 및 유지, 종료담당
- 반이중 대화, 전이중 대화의 설정 및 동기화 유지
표현 계층 (6계층)
- 전송데이터의 표현(암호화 형식, 압축형식 등) 에 대한 약속
- 전송 데이터의 구문과 의미에 대한 처리를 담당
-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표준 형식으로 데이터 변환
응용 계층 (7계층)
- 어떤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? 의 약속
- 응용 프로세스에게 네트워크 접근 수단 제공
TCP/IP 구조와 인터넷장비
중계기 (리피터)
- 물리계층 장비
- 신호증폭, 장거리 통신
허브 (Multiport Repeater)
- 물리계층 장비
- 여러대 PC 접속
- 접속단말의 수가 많으면 속도저하
브리지 (Bridge)
- 데이터링크 계층 장비
- LAN과 LAN 연결
L2 스위치 (Switch)
- 데이터링크계층 장비
- MAC 주소를 통한 교환기능
- 충동 도메인을 구분
L3 스위치 (Switch)
- 네트워크계층 장비
- 스위치에 라우팅 기능 추가한것
L4/L7 스위치
- 전송계층 / 응용계층 까지 동작하는 장비
- 서버 로드밸렌싱 기능
- 캐시 리다이렉션 기능
- 방화벽 / VPN
라우터 (Router)
- 최적 경로 선택 (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기반 최적의 경로를 선택해서 전달)
- 세그먼트의 분리 (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세그먼트로 분리, 트래픽차단기능)
게이트웨이 (Gateway)
- 1~7계층에서 동작
- 서로 다른 성격의 네트워크를 연동시킴
AP (Access Point)
- 무선 인터넷 중계기, wifi공유기
- IEEE 802.11 에서 표준화
'과제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1_3주차 2강 (0) | 2020.05.11 |
---|---|
네트워크1_3주차 1강 (0) | 2020.05.11 |
네트워크1_2주차 1강 (0) | 2020.05.09 |
네트워크1_2주차 2강 (0) | 2020.05.09 |
네트워크1_1주차 1강 (0) | 2020.05.08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