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제정리
데이터 통신_3주차 1강
렉사이
2020. 5. 17. 02:25
인터네트워킹-2
- IP 인터네트워킹
- 인터넷에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식
- 패킷 중개기능은 IP 프로토콜이 수행
- 양쪽 MAC 계층이 다르면 패킷 변환 기능이 필요
- 필요시 패킷분할과 병합 과정도 수행
- 인터넷 라우팅
- 고정 경로 배정
-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 영구 불변의 고정 경로를 배정
- 장점 :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라우팅이 가능
- 단점 : 트레픽 변화에 따른 동적 경로 배정이 불가능
- 적응 경로 배정
- 인터넷 연결 상태가 변하면 이를 전달 경로 배정에 반영
- 특정 네트워크나 라우터가 비정상인 경우
- 네트워크의 특정 위치에서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
- 단점 : 경로 결정 과정에서 라우터의 부담 증가
- 라우터 사이의 시간정보의 불일치성 문제 존재
- 자율 시스템
- 동일한 라우팅 특성으로 동작하는 논리적 단일 구성체
-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: 자율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
-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 : 자율 시스템 간 사용
- 자율 시스템의 연결
서비스 품질
- Qos 개요
- 연결 설정 지연
- 연결 설정 실패 확률
- 전송률
- 전송 지연
- 전송 오류율
- 우선 순위
- 인터넷에서의 Qos
- IP 프로토콜
- 모든 패킷에 동일한 기준을 적용
- 데이터 도착 순서나 100% 수신을 보장하지 않음
- 전송 데이터의 종류별 특징
- 영상정보 : 대용량의 실시간 전송, 전송 오류에 관대
- 컴퓨터 데이터 : 실시간 전송 불필요, 전송 오류에 민감
- IP프로토콜에서의 실시간 지원
- 버퍼에 미리 저장하는 작업 필요
- 결과적으로 첫번째 데이터의 처리시점이 지연
- IP프로토콜에서의 Qos 지원
- 라우터와 호스트에서 각 패킷을 구분할수 있어야 함